Total

Feign Client spring cloud의 중요 요소중의 하나인 feign client 에 대해서 알아보자 EnableFeignClient 가장 중요한 것은 역시 설정 파일인데요 feign 에서 제공하는 @EnableFeignClients 를 활용하면 정말 좋습니다 기본적으로 class 을 가져오는 방식과 basepackage 를 기반으로 scan 하는 방식 이 있는데요 basePackage를 기반으로 가져온다면.. 더 많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겠죠? feignClient가 추가될 때마다 환경 설정들을 추가적으로 할 필요가 없으니까요 또한, 보통 Feign 레벨의 client를 한번 더 감싸서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 결정하게 되는데요 이 경우에도 같이 @ComponentScan 을 같이 해준다면, ..
영속성 상태란? 흔히 JPA 에서는 객체 상태를 영속성 상태라고 하는 기준에 의거하여 Hibernate가 객체를 관리하게 되는데요.. 핵심적인 상태는 총 3가지 입니다 Managed(persist) 상태 : 영속성 컨텍스트에 저장된 상태 Detached(clear, detach) 상태 : 영속성 컨텍스트에 저장되었다가 분리된 상태 = 준영속 상태 Removed(removed) 상태 : 삭제된 상태 영속 상태 조금 쉽게 코드로 이야기하자면, EntityManager에 의해서 관리되는 상태가 바로 영속성 상태입니다 em.persist(team) persist 메서드는 주로 JPARepository에서 save시 일어나게 되죠.! 준영속 상태 영속성 상태에서 벗어나서 영속성 컨텍스트가 관리하지 않으면 준영속 ..
Kafka 메세지 브로커로 아주 많이 쓰이는 kafka 에 대해서 알아보자 💌 목차 Kafka 목차 아키텍처 Partition의 메세지 기록 방법 Replication 알아야될 정보들 참고 자료 아키텍처 전체적인 구성요소는 이렇게 되는데요 하나씩 천천히 파헤쳐볼까요? ZooKeeper: 원래의 용도는 Cluster 들의 설정 정보 관리, 동기화 등 클러스터 서버들이 공유하는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해 사용 즉, Message Broker들의 Cluster 들을 관리하는 친구라고 보면 된다 (이 친구 없이 Kafka는 구동할 수 없다) Broker: Kafka Server를 지칭하며 한 Cluster 내에 여러 Broker를 띄울 수 있다 Topic: 메세지가 생산되고 소비되는 주체 Partition: 하나의..
고차 함수 코틀린은 Functional Programming 에 특화된 언어니 한번 파헤쳐보자 목차 고차 함수 목차 함수 정의하기 함수를 리턴하는 함수 고차 함수 흐름제어 함수 정의하기 코틀린을 처음하다 보면 굉장히 어색한 문법이 있는데, list.filter { it % 2 == 0 } 와 같은 문법이다 처음에는 정말 어색하지만, 두고 볼수록 정말 매력 있는 녀석이다 자바에서는 list.stream() .filter(num -> num % 2 == 0) 와 같은 녀석인데, 코틀린에서 위에서 저렇게 사용하는건 유감스럽게도 java stream 처럼 lazy 한 속성을 가지고 있지는 않다(일반적인 순차선회) kotlin의 stream을 쓰기 위해서는 asSequnence 를 선언해줘야 가능하다 아니 왜 함..
암호화 최근에 암호화에 대해서 많이 배우고 있었는데요 모르고 헷갈리고 정신없는 부분들이 너무 많아서 조금 이해하기 쉽게(?) 정리하면 좋겠어가지고 정리하게 되었습니다 사실 네이버 블로그나 여러 군데에 정말 많은 글들이 있는데요 내용이 워낙에 어려운지라 헷갈려가지고 따로 정리하게 되었네요 ㅎㅎ 먼저 암호화라는 개념은 너무나 간단합니다 내가 가진 원문의 메세지를 상대방이 해석할 수 없게 하는 것이 바로 암호화의 목적이죠 예를 들자면, 원문의 메세지는 일반적인 집주소, 전화번호 와 같은 개인정보들이 될 수도 있구요! 이제 암호화를 어떻게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암호화 하는 방법 우리가 컴퓨터를 공부하다보면 암호화하는 방법들에 대해 간략히 배우게 되는데요 대표적인 종류로는 대칭키 암호, 비대칭키 암호..
Kotlin의 Type System 코틀린의 타입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자.! 🖌️ 목차 Kotlin의 Type System 목차 Null 체이닝 방식 Null이 아니라고 단정짓기 Null이 아닌 값을 함수에 넘기기 Casting lazy loading Null 보통은 가장 일반적으로 쓰는 방식이 바로 ? 방식이다 어떻게 사용하는 것이냐면 foo?.toUpperCase() 의 의미는 if (foo != null) { foo.toUpperCase() } else { null } 와 같은 의미를 가지게 된다! 체이닝 방식 java8 에서 나오는 Optional 객체를 기억하시는가요? kotlin에서 ? 문법은 쉽게 생각하면 Optional 객체를 요약한 것이라 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chaining 기능도..
huisam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8 Page)